|
전기사용량 검침일에 따라서 누진구간이 달라질수 있습니다.
검침일은 매월 1~5일, 8~10일, 15~17일 등으로 한 달 사이 7개로 나뉘어 있으며 전기요금을 부과하는 기간 기준은 검침원이 계량기를 검침한 날부터 그 이전 한 달 사용량 입니다.
최종적으로 월단위로는 사용량이 같아도 현실적으로 냉방기 전략소모가 많은 기간이 7월 말부터 8월 초라서 7월 22~24일 사이에 검침하면 유리하고 8월 8~12일 사이에 검침하면 불리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.
전자식 스마트 계량기(AMI)가 장착된 곳은 개인이 한국전력에 연락해서 일자를 변경할 수가 있는데 장착되지 않은 곳은 직접검침하기 때문에 변경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특히 아파트의 경우 한국전력이 검침을 하지는 않고 관리사무소에 위탁하고 관리사무소는 수수료를 받는 구조입니다.
직접검침하는 아파트의 경우 다수의 세대간 의견이 차이가 있을수 있고 관리사무소는 검침일 변경 시행시 추가검침을 하고 입주민에게 상세설명 및 문의에 대응도 해야해서 부담스럽기도 할 듯 합니다.
입주민을 설득하려면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시해야하는데 전산화 된 곳은 주간 월간 사용량 차이를 산출해서 모델링을 해보고 객관적 데이터를 내줄수 있겠으나 세대를 돌아다니면서 검침하는 곳은 그마저도 난해할 듯 합니다.
가. 요금체계
주택용 저압 (2016년 12월 1일 기준)
기본요금(원/호)
200kWh 이하 910
201 ~ 400kWh 사용 1,600
400kWh 초과 사용 7,300
전력량 요금(원/kW)
처음 200kWh 까지 93.3
다음 200kWh 까지 187.9
400kWh 초과 280.6
1,000kWh초과 709.5: 하계(7~8월, 12~2월) 기간만 적용
나. 검침일
1차 1 ~ 5일(25일까지 요금 납부)
2차 8 ~ 10일(말일)
3차 15 ~ 17일(다음달 5일 까지 요금 납부)
4차 18 ~ 19일(다음달 10일 까지 요금 납부)
5차 22 ~ 24일(다음달 15일 까지 요금 납부)
6차 25 ~ 26일(다음달 20일 까지 요금 납부)
7차 말일(다음달 18일 까지 요금 납부)
검침일은 매월 1~5일, 8~10일, 15~17일 등으로 한 달 사이 7개로 나뉘어 있으며 전기요금을 부과하는 기간 기준은 검침원이 계량기를 검침한 날부터 그 이전 한 달 사용량 입니다.
최종적으로 월단위로는 사용량이 같아도 현실적으로 냉방기 전략소모가 많은 기간이 7월 말부터 8월 초라서 7월 22~24일 사이에 검침하면 유리하고 8월 8~12일 사이에 검침하면 불리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.
전자식 스마트 계량기(AMI)가 장착된 곳은 개인이 한국전력에 연락해서 일자를 변경할 수가 있는데 장착되지 않은 곳은 직접검침하기 때문에 변경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특히 아파트의 경우 한국전력이 검침을 하지는 않고 관리사무소에 위탁하고 관리사무소는 수수료를 받는 구조입니다.
직접검침하는 아파트의 경우 다수의 세대간 의견이 차이가 있을수 있고 관리사무소는 검침일 변경 시행시 추가검침을 하고 입주민에게 상세설명 및 문의에 대응도 해야해서 부담스럽기도 할 듯 합니다.
입주민을 설득하려면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시해야하는데 전산화 된 곳은 주간 월간 사용량 차이를 산출해서 모델링을 해보고 객관적 데이터를 내줄수 있겠으나 세대를 돌아다니면서 검침하는 곳은 그마저도 난해할 듯 합니다.
가. 요금체계
주택용 저압 (2016년 12월 1일 기준)
기본요금(원/호)
200kWh 이하 910
201 ~ 400kWh 사용 1,600
400kWh 초과 사용 7,300
전력량 요금(원/kW)
처음 200kWh 까지 93.3
다음 200kWh 까지 187.9
400kWh 초과 280.6
1,000kWh초과 709.5: 하계(7~8월, 12~2월) 기간만 적용
나. 검침일
1차 1 ~ 5일(25일까지 요금 납부)
2차 8 ~ 10일(말일)
3차 15 ~ 17일(다음달 5일 까지 요금 납부)
4차 18 ~ 19일(다음달 10일 까지 요금 납부)
5차 22 ~ 24일(다음달 15일 까지 요금 납부)
6차 25 ~ 26일(다음달 20일 까지 요금 납부)
7차 말일(다음달 18일 까지 요금 납부)